top of page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카메라, 감정인식API, 이미지분석 API, 3D 프린팅, 영상 등, 2018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는 4가지 작업을 통해 감정을 데이터화하는 현재의 기술적 지형을 탐구한다. '자가 감정 추수' 장치는 감정 분석 API와 결합해 얼굴 감정을 기록하고 분석하며, 행복 데이터를 추출해 3D 돌로 시각화한다. 이 돌은 '기원석'이나 암호화폐로 해석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감정의 정량화가 만들어내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비장소를 떠도는 얼굴과 존재들을 통해 질문한다.

The whole data catalog

Camera, Facial Recognition API, Image Analysis API, 3D Printing, Video, etc.,2018

<The Whole Data Catalog> explores the current technological landscape of data-mining emotions through four works. The “self emotion harvesting” device combines with a emotion analytics API to record and analyze facial expressions, extract happiness data, and visualize it as a 3D stone. The stone is interpreted as a 'stone of origin'/or stone of hope) or cryptocurrency. It asks the question of the value of quantifying emo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appearance of faces and beings in non-places.

자가감정추수장치 (2)_edited_edited_edited.jpg
자가감정추수장치 (4)_edited.jpg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1 : 자가 감정 추수


자가 감정 추수기(마이크로 컨트롤러, 카메라, 헬멧, 감정 분석 API) 및 퍼포먼스 영상, 10분, FullHD, 2018
 

‘감정’은  점점 데이터화 되며 별개의 개체처럼 다루어 지고 있다.  이런 감정의 정량화 기술은 그 허술함에도 불구하고 점점 '스마트주의' 사회에서 통용되는 토큰과 같은 것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중심에 두고 정량화 된 감정 중 가장 선전적인 감정인 '행복'에 초점을 맞춘다. 


카메라를 장착한 전자 장치와 감정 분석 알고리즘 API가 합쳐진 '자가 감정 추수기'는 얼굴의 감정을 기록하고 분석한다. 이 '자가 감정 추수' 헬맷을 쓴 산책자는 기술, 자연, 사회 문제에 대응해 독특한 해결주의적 감각을 보여주는 스마트시티 등의 비장소(non-place)들을 배회한다. 이 비장소들을 배회하며 비감정을 추수(harvest)한다. 

​*비장소(non-place) 마르크 오제(Marc Augé)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관계와 역사, 고유한 정체성이 부재한 장소를 뜻한다
​ 

Whole Data Catalog 1: Self-Harvesting Emotions
 

Autonomous emotion harvester (microcontroller, camera, helmet, emotion analysis API) and performance video, 10 min, FullHD, 2018
 

“Emotion” is increasingly being dataized and treated as a discrete entity. The technology to quantify these emotions, despite its flaws, is increasingly becoming something of a token in our 'smart' society. This article centers on this phenomenon and focuses on happiness, the most propagandized of the quantified emotions.
 

A combination of camera-equipped devices and emotion analysis algorithm APIs, the 'self-emotion harvester' records and analyzes facial emotions. Wearing the helmet, the walker wanders through non-places, such as smart cities, that exhibit a unique sense of solutionism in response to technology, nature, and social problems. They roam these non-places to harvest non-emotions.
 

*Non-place is a term coined by Marc Augé that refers to a place that lacks relationships, history, and a distinct identity.

행복의기원 (3).jpg
행복의기원 (1).jpg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2 : 행복의 기원


​출력된 3D 돌, 퍼포먼스 영상, 5분, 2018


​'자가 감정 추수 장치'를 쓰고 비장소를 배회 하며 얻어낸 감정 데이터 중 행복 데이터는, 자연권에 속하되 가장 무생물적인 존재로 취급되는 가상의 광석으로 옮겨진다. 이 광석은 행복을 기도하는 '기원석'으로 해석되는 동시에, 16세기-20세기에 상품과 서비스, 노예를 교환하는 토큰으로 쓰인 ‘무역 구슬’, 혹은 난립하는 현재의 암호화 화폐를 동시에 연상시키는 가상화폐로 해석된다. 이러한 파생 상품은 행복에 대한 경제학적인 기대 뿐 아니라 신화적이고 개인 구복적인 영역까지를 대리하며 점점 외부화되고 구름화 되어가는 행복의 감각을 드러낸다. 이 돌들을 기원의 장소로 옮겨가 계속 쌓는다. 그 돌들은 계속 무너진다 

Whole Data Catalog 2: The Origins of Happiness (Hope for Happiness)

 

Printed 3D stone, performance video, 5 min, 2018
 

The emotional data collected by wandering around non-locations wearing a 'self emotion harvesting device', happiness data is transferred to a fictional ore, which is treated as the most inanimate of natural entities. This ore is interpreted as a “prayer stone” for happiness, but also as a virtual currency that is simultaneously reminiscent of the “trade beads” used as tokens to exchange goods, services, and slaves in the 16th-20th centuries, or the emerging cryptocurrencies of today. These derivatives represent not only economic expectations of happiness, but also mythical and personal realms, revealing an increasingly externalized and clouded sense of well-being. I carry these stones back to their place of origin and continue to stack them. They keep falling down.

20241001_143920_edited.jpg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3 : 지시 혹은 암시 

​퍼포먼스 기록 사진 출력, 2018


​행복을 키워드로 얻어낸 이미지들은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API를 통해 행복의 수치들을 보여준다. 행복의 데이터 값이 높을 수록 그것들은 인공지능이 학습했을 특정한 행복의 패턴을 드러내고 있었다. 가령 목초지에서 순한 개와 와인, 친구들에게 둘러싸인 다정한 웃음, 청춘 영화 같은 점프 같은 것들 말이다. 우리는 그 지침을 따른다. 역으로 외부에서 분석한 행복의 패턴을 행위 했을 떄 행복감을 느낀다면, 그것은 관습과 믿음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하이퍼객체로 영접 해야 하지 않을까.​​

Whole Data Catalog 3 : Indicated or implied

Performance recording photo printing, 2018

Images from social networks with happiness as a keyword are passed through the AI image analysis API and scored for happiness. The higher the happiness data value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reveal a specific pattern of happiness that the AI had learned. For example, gentle dogs and wine in a pasture, friendly laughter surrounded by friends, and jumping like in a cheesy teen movie. We follow its instructions. Conversely, if we feel happy when we perform an externally analyzed pattern of happiness, shouldn't we embrace it as a new hyperobject that operates on convention and belief?

관광객결과값없음 (4)_edited.jpg
관광객결과값없음 (2)_edited.jpg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4 : 관광객/결과값 없음 


​3D 스캔 된 캐릭터, 이미지 분석 API, 이미지 합성 사진 시리즈, 2018


​행복을 선전하는, 혹은 행복의 패턴을 따르는 비장소에 3D 스캐닝 된 작가들이 삽입된다. 이들의 표정은 이러한 감정 정량화 기술의 가장 원전이라고 할 수 있는 폴 애크먼의 저작 <Unmasking the face>에 실린 행복의 표정을 지침으로 삼았다. 이 '가짜 과학적 연구 사진'에 대해 이미지 분석 API는 흥미롭게도 대부분은 사진에 대해 ‘관광객(Tourist)’으로 태킹해 주었다. 그리고 행복의 수치는 종종 ‘결과값 없음’으로 나타났다.

Holistic Data Catalog 4: Tourists/No Results

3D scanned body, image analysis API, image composite photo series, 201

3D scanned artists are inserted into non-place that tout happiness, or follow patterns of happiness. Their facial expressions are guided by the facial expressions of happiness in Paul Ackman's book, <Unmasking the face>, which is arguably the original source for this emotion quantification technique. For these 'fake scientific research photos', the image analysis API interestingly tagged most of them as 'Tourist'. And the happiness readings often came back as “no results

bottom of page